고물창고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고물창고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79)
    • 야구-칼럼 (47)
      • KBO (15)
      • MLB (5)
      • NPB (1)
      • SaberMetrics (9)
      • 레전드로 살펴보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사 (1)
      • KBO 포스트시즌 진출 확률 (8)
      • KBO 포스트시즌 제도 (8)
    • 이 주의 Hot&Cold (28)
      • 2022 KBO리그 (27)
    • 잡다한 일상 (2)

검색 레이어

고물창고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야구-칼럼/SaberMetrics

  • 세이버메트릭스가 야구를 망쳤을까?

    2022.03.21 by 야구고물상

  • 득점을 승수 스케일로 환산할 때, Runs per Wins

    2015.11.18 by 야구고물상

  • wRC의 조정-투수들의 경우

    2015.03.17 by 야구고물상

  • Run Value와 wOBA 구하기

    2015.03.08 by 야구고물상

  • 간단한 타자들의 선구안 비교

    2014.08.28 by 야구고물상

  • 선발투수 운의 계산(LUCK 2nd Ver.)

    2014.01.18 by 야구고물상

  • 간단히 해보는 선발투수 운(Luck)의 계량

    2013.10.31 by 야구고물상

  • LUCK 지수 구하기 엑셀자료

    2013.09.30 by 야구고물상

세이버메트릭스가 야구를 망쳤을까?

살짝 지난 토픽입니다만, 한 커뮤니티에서 한 동안 나왔던 이야기라 간단하게 정리해 봤습니다. 이번 오프 시즌 들어서 틈만 나면 세이버메트릭스와 야구 인기와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오고 가고 있습니다. 세이버메트릭스의 유행이 야구 인기를 갉아먹고 있다는 이야기가 그 골자입니다. 그런데 그 글들을 보면 좀 너무 단편적으로 생각하는 게 아닐까 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저는 세이버메트릭스가 야구 인기를 망치는 근본 원인이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세이버메트릭스의 유행으로 타자들은 공 고르는 데에만 관심이 있다? 완벽한 착각입니다. 세이버메트릭스가 출루율을 중시하는 건 간단합니다. 안 죽으면 그만큼 많은 기회가 오는 거니까요. 그러니까 타율로 출루율을 올리든 볼넷으로 출루율을 올리든 둘 다 좋아합니다. 과거에 타율을..

야구-칼럼/SaberMetrics 2022. 3. 21. 01:53

득점을 승수 스케일로 환산할 때, Runs per Wins

오랜만입니다. 그동안 시험 준비한다는 핑계로 블로그에 소홀했었습니다. 이제 남는 시간이 좀 생겨서 몇 달 동안은 열심히 블로그 포스팅 가능할 것 같습니다. 물론 제가 글 쓰는 주제나 글 쓰는 성향 때문에 자주 쓸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지만요. 그래서 먼저 간단한 글 하나 씁니다. 모든 스탯은 팬그래프에서 얻었습니다. 요즘 야구팬이라면 WAR이란 소리를 지겹게 들으셨을 겁니다. Wins above Replacement, WAR에 대한 이야기는 복잡하기도 하거니와 저 말고 설명해 주실 분들이 많기 때문에 설명이 필요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우리가 계산하는 팬그래프 방식 WAR은 득점을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득점을 승수 스케일로 바꾸는 무언가가 필요하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그것이 오늘 이야기할 R/..

야구-칼럼/SaberMetrics 2015. 11. 18. 01:47

wRC의 조정-투수들의 경우

모든 스탯은 Baseball-Reference와 Fangraphs에서 얻었습니다. 1. 도입 제가 이전에 쓴 글에서 볼 수 있듯이, 리그의 득점 환경이 동일하다는 점에서 저는 투수의 타자들과의 상대성적을 통해 투수가 기록한 wOBA를 이용하면 투수가 기록한 실점을 대략적으로 예상 가능하다는 생각을 했다고 썼습니다. 하지만 그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wOBA를 득점 스케일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그 스탯은 wRC로, 어쩌면 wOBA에서 나오는 아주 당연한 귀결일 수도 있는 스탯이기도 합니다.. 2. wRC 보통은 wOBA를 설명할 때 wRAA를 같이 설명합니다. wRC나 wRAA나 사실상 거의 같은 의미인데, 다른 것이라면 wRAA는 +의 득점을 의미한다면, wRC는 득점 그 자체를 ..

야구-칼럼/SaberMetrics 2015. 3. 17. 21:45

Run Value와 wOBA 구하기

모든 스탯은 Fangraphs에서 얻었습니다. 1. 득점 창출 wOBA를 소개하기 이전에 세이버매트릭스의 전체적인 흐름 정도는 소개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세이버매트릭스가 태동한 이후 많은 세이버매트리션들은 득점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하여 여러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물론 만들어지는 과정 자체는 여러 루트가 있겠지만, 많이 루상에 나가고(출루율), 많은 장타를 쳐 내면(장타율) 많은 득점을 창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많은 경기를 보아온 바 알고 있습니다. 그런 이유에서 탄생한 것이 바로 세이버매트릭스계의 기본이자 혁명이라고 할 수 있는 OPS(On Base Plus Slugging)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듯이 단타를 친 후 창출되는 득점이 꼭 2루타를 친 후 창출되는 득점의 1/2..

야구-칼럼/SaberMetrics 2015. 3. 8. 02:03

간단한 타자들의 선구안 비교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3개월 이상 들어오지 않았다고 휴면계정이었다네요.ㅋㅋ) 하하;;근데 하필 돌아오니까 정말 필요 없는 거 하나 만드네요... 이 포스팅에서 다룰 것은 제가 만든 APD, Adjusted Plate Discipline으로 조정된 선구안이라는 개념으로 만든 겁니다. (근데 사실 선구안을 보고 싶으면 팬그래프에서 Plate Discipline란을 보는 게 나을 겁니다..) 1. 개념 말 그대로 Plate Discipline의 조정으로 한국말로 하자면 조정 선구안(...)쯤 되는 개념으로 만들었습니다. 저는 선구안을 주로 보고 싶기 때문에 고의4구를 제외한 4구를 취급할 것입니다. 그리고 사구의 경우 선구안이라기보다는 타석에서의 approach와 관련된 것이라고 생각하여 사구를 제외한 타..

야구-칼럼/SaberMetrics 2014. 8. 28. 00:37

선발투수 운의 계산(LUCK 2nd Ver.)

모든 기록은 팬그래프와 베이스볼 레퍼런스에서 얻었습니다. 아래 식에 나오는 sta는 선발을 뜻하고 rel은 불펜투수를 뜻합니다. IPDEC은 선발투수가 디시전이 되는 비율을 뜻하며 '선발이닝/선발투수 디시전 횟수'로 구합니다. 아래 나오는 계산결과는 다운 받으셔서 확인하셔도 됩니다. 소개 작년에 쓴 글 중에 간단히 해보는 선발투수 운(Luck)의 계량이란 글이 있었습니다. 그 글에서 저는 다음과 같이 LUCK 툴의 네 가지 문제점을 말한 바 있습니다. 1. 아직 커리어를 대상으로 적용해본 사례가 없기 때문에 커리어의 경우 운의 요소가 많이 줄어드는지를 확인해본 적이 없다. 2. RS,RA가 독립변수로써 투수의 디시전 결과 예측에서도 통계적 유의미성을 지녔는지에 대한 증명이 생략되어 그 근거가 미약하다. ..

야구-칼럼/SaberMetrics 2014. 1. 18. 17:47

간단히 해보는 선발투수 운(Luck)의 계량

#참고: 과거 MLBNATION에 썼던 글로 다나카글을 올린 겸 같이 올립니다. 재미로 한 번 해 본 겁니다. 저는 이 글에서의 수학적 엄밀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재미로 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팬그래프(fangraphs.com)에서 얻은 것입니다. 한 때 윤석민상이라는 게 유행했던 적이 있습니다. 2007년 윤석민은 162이닝을 던지면서 2완투 1완봉 3.78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습니다. 기록 자체는 아주 솔리드하다고 볼 수 없었지만, 이닝을 보면 준수한 2선발급의 활약은 하였다고 볼 수 있는 성적이었죠. 하지만 윤석민의 성적에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습니다. 디시전이 7승 18패였던 것이죠. 이 7승 18패라는 성적에 고무된(!) 네티즌들은 그 때부터 윤석민상이라는 걸 만들어서 시상하..

야구-칼럼/SaberMetrics 2013. 10. 31. 01:19

LUCK 지수 구하기 엑셀자료

MLBNATION회원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예전에 제가 쓴 글에 '간단히 해보는 선발투수 운(Luck)의 계량'이라는 글이 있었습니다. 이 포스팅은 그 분들, 그리고 그 외에도 윤석민 어워드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을 위한 많은 야구팬을 위한 것으로, 제가 지금까지 독점해왔던(흠...허접하기 때문에 별 의미는 없긴 하지만서도ㅎㅎ) LUCK 지수 계산을 위한 엑셀 파일을 공유하기 위한 포스팅입니다. 아래 엑셀파일 링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우선 간단히 어떤 식으로 사용하면 되는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우선 위의 파일은 2013년 LUCK지수 계산을 위해 사용한 파일의 재활용(;;)입니다. 뭐 AL과 NL에 특별히 할 언급은 없고요 IP_FAN이라는 항목은 팬그래프 기록을 사용한 흔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팬그래..

야구-칼럼/SaberMetrics 2013. 9. 30. 18:4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고물창고 © Magazine Lab
페이스북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