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wRC의 조정-투수들의 경우

야구-칼럼/SaberMetrics

by 야구고물상 2015. 3. 17. 21:45

본문

반응형

킹 펠릭스도 Opponent Batting Stat으로 계산한 경우 wRC보다 기록한 실점이 대체적으로 많은 대표적인 투수입니다.


모든 스탯은 Baseball-ReferenceFangraphs에서 얻었습니다.


1. 도입

 

제가 이전에 쓴 글에서 볼 수 있듯이, 리그의 득점 환경이 동일하다는 점에서 저는 투수의 타자들과의 상대성적을 통해 투수가 기록한 wOBA를 이용하면 투수가 기록한 실점을 대략적으로 예상 가능하다는 생각을 했다고 썼습니다. 하지만 그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wOBA를 득점 스케일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그 스탯은 wRC, 어쩌면 wOBA에서 나오는 아주 당연한 귀결일 수도 있는 스탯이기도 합니다..

 

2. wRC

 

보통은 wOBA를 설명할 때 wRAA를 같이 설명합니다. wRCwRAA나 사실상 거의 같은 의미인데, 다른 것이라면 wRAA+의 득점을 의미한다면, wRC는 득점 그 자체를 의미한다고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전의 글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Run ValueWeight는 각각 wOBA SCALE만큼의 차이(곱입니다. !!)를 가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wOBA에서 wRAA를 만들기 위해서는, 즉 득점 스케일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wOBAwOBA SCALE로 나누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단박에 알 수 있을 겁니다. 다만, 이는 득점 스케일로 환산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선수의 wOBA 자체를 wOBA Scale로 나눌 경우 R/PA와는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타자의 wOBA에서 리그 wOBA를 뺀 값을 wOBA Scale로 나누면 됩니다. 그리고 이 값은 1타석당 값이 될 것이므로, 이 값에 타석을 곱하면 정확한 득점 스케일로 환산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wRCwRAA에서 LgR/PA값을 더하면 바로 나옵니다. 식은 아래와 같겠군요.

 

 


3. wRC 조정의 당위성

 

wRC 식만 봐도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을 겁니다.

 

1. 만약 선수의 wOBA가 리그 wOBA와 정확히 같다면 그 선수가 가지는 득점적 가치는 리그 평균과 같은 것다.

2. wRC는 선형적인 식이다.

3. 득점의 양 끝값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

 

3번은 말이 좀 애매한데, 풀어서 쓰자면 wRC값이 음수값이 나올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2014시즌을 예로 들자면, 가장 낮은 wRC값은 R/PA 스케일로 대략 0.13점이 나옵니다. A라는 선수로만 이루어진 팀이 있는데, 이 선수는 생산적인 타구를 만들어내지 못하는 타자라고 가정해 봅시다. (wOBA0이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wRC/PA0.13 정도 되니까 27타석 나오면 3.5점 정도...?? 뭔가 이상한 걸 눈치 채셨을 겁니다. 득점이 음수라니요. wOBA0인 팀이라도 득점이 음수일 수는 없지 않습니까? 우선 wRC를 타자에게 적용한다면 그것이 문제는 아닙니다. 분명 Run Value가 음수인 이벤트들이 있거든요. 그러니까, 타자의 경우 팀에 대해 음수의 득점 기여도를 가질 수 있다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근데 이게 투수한테 적용하면 좀 골치가 아파집니다. 그럼 안 하면 되지 않느냐? 하고 반문하실 수도 있습니다. 근데 그게 좀 짜증나서요.(너무 개인적인 이유인가요?) 분명 득점 환경은 똑같은데 타자한테는 되고 투수의 타자 상대 기록에는 적용할 수 없다니! 이게 무슨 개뼈다귀같은 소리랍니까!

그래서 투수에게, 혹은 팀기록은 wRC를 조금 다르게 적용하자는 겁니다. 적어도, 그 기록에서는 음수가 나올 수 없을 테니까요.

 

4. 식을 만들기 전 정리하기

 

우리가 원하는 것은 끝점이 고정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wOBA0일 때는 타석당 기대득점이 0으로, wOBAwHR과 같을 때는 타석당 기대득점이 1로 말입니다. wOBAwHR과 같을 경우가 가장 큰 값인 이유는 가장 큰 득점을 가지는 이벤트가 홈런이니 모든 타석에서 홈런을 친 경우의 wOBA가 가장 높을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그 경우 wOBAwHR과 같아집니다. 홈런을 쳤을 때 1점보다 더 많이 득점할 수 있지 않느냐고 물으실 겁니다물론 그렇습니다홈런의 Run Value 또한 1.4점이고요. 근데 그건 다른 모든 경우들과 합해서일 때입니다. 그러니까, 그 전 타석에 누군가가 루상에 출루했기 때문에 홈런 타석에서 1점보다 많이 딸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 첫 타자가 안타, 두 번째 타자가 삼진, 세 번째 타자가 홈런을 쳤다면 그 때의 타석당 득점은 2/3으로 정의하기로 합니다. 만약 세 타자가 홈런을 쳤다면? 그건 그거대로 1입니다. 세 타석에서 세 점이니까요. 그리고, 이런 경우 최대 득점은 타석당 1점인 것이죠. (다분히 타자에게 적용할 때와는 다른 정의입니다.) 끝점이 선형식보다 높거나 낮게 고정되는 식이기 때문에, 우리는 투수에게 적용될 wRC/PA의 식이 선형이 아닌 아래와 같은 커브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예시 그래프


이제 커브를 만들 차례입니다. 제가 쓰기로 사용한 것은 자연상수 e를 밑으로 한 지수함수입니다. 왜냐구요? 우선 먼저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wRC식과의 연계성도 고려해 wOBALgwOBA보다 높을 때와 낮을 때를 나눠서 식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LgwOBA인 지점에서의 기대득점 기울기는 wRC의 기울기와 같아야 하거든요. 그리고 그 두 경우를 나눠서 생각해보면 곡선이 대충 2, 3, 등등등의 지수를 가진 다항식으로 표현될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는 자연함수가 밑인 지수함수로 표현될 것이거든요.[각주:1]

그리고 다른 이유는,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봐서는 자연이 자연로그를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계산하기 편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 글에서 보듯이, wOBA가 그 자체로도 어느정도의 exponential 함수와 같은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자연상수를 밑으로 한 함수로 만드는 것은 꽤 괜찮은 아이디어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한 번 우리가 원하는 것들을 정리해 봅시다.(가정)

 

(1) wOBA=0일 때의 wRC/PA=0이 될 것이다.

(2) wOBA=wHR일 때의 wRC/PA=1이 될 것이다.

(3) wOBA=LgwOBA일 때의 wRC/PA=LgR/PA이다.

(4) wRC/PA의 기울기는 LgwOBA인 지점에서 1/(wOBA Scale)이다.

(5) LgwOBA를 중심으로 wOBA식을 나눠서 계산한다.

(6) 두 식 모두 밑이 자연상수 e인 함수식이다.

(7) wRC/PA는 연속이며, 그 식의 미분도 연속이다.

 

5. 조정식 만들기


(1) wOBA가 LgwOBA보다 작은 경우


밑이 자연상수인 식을 원하므로 로 정의하고 계산하기로 합니다. 이 때 우리에게 필요한 상수는 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원하는 식은 아래와 같은 식일 겁니다.



이제부터 LgwOBA, 1/(wOBA Scale), LgR/PA는 계속 쓰기 귀찮기 때문에 아래에서는 각각을 m,s,r로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는 위에서 가정한 wRC/PA식과 가정 (1), (3), (4)를 이용하면 다음의 식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 식들은 다음과 같이 풀 수 있습니다.


a의 경우 로그식으로 풀 수도 있고, 또한 을 대입할 수도 있지만 위의 식이 더 깔끔한 것 같아서 위와 같이 쓰기로 하겠습니다.


(2) wOBA가 LgwOBA보다 큰 경우


이 때는 식의 기본형이 조금 다른데, 왜냐하면 wHR에서의 wRC/PA가 특정되며 wOBA가 작은 경우와는 기울기의 모양이 다를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원하는 기울기를 가진 지수함수는 의 모양인 것을 같이 생각해 본다면 아래와 같은 식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오케이, 위와 같은 식을 기본형으로 가진 식을 wRC/PA로 쓰기로 합시다.

우리에게 필요한 상수는 입니다. 


wHR/PA의 기본형도 정했으니 우리에게 필요한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wHR의 경우 h로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앞에서와 같이 m,r,s를 사용할 것이며 가정 (2), (3), (4)를 이용하면 아래의 식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 식들은 다음과 같이 풀 수 있습니다.



6. 정리


위의 식들을 정리하면 wRC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1) wOBA가 LgwOBA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로 상수를 구한 후



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 wOBA가 LgwOBA보다 큰 경우



로 상수를 구한 후



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 식을 원래의 wRC/PA식과 비교하면 아래와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습니다. (2014시즌 기준)


이전 wRC/PA식과 조정된 wRC/PA 그래프


원래의 wRC와 조정된 wRC 그래프같의 오차율이 5% 이내인 경우에만 함수값을 1로 넣을 경우 아래와 같은 Step Function 모양의 그래프가 그려지며, 그 구간은 대략 wOBA 0.260~0.620 정도의 구간입니다. 즉, 보통의 타자들이나 팀들이 속해 있는 구간입니다. 그러므로, 조정식은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생각됩니다.


두 wRC/PA식같의 오차율이 5% 이내인 구간의 함수값이 1인 그래프-일명 오차율 계단



7. 적용


먼저 2010~2014시즌까지의 투수들을(각각 시즌 나눠서, 모두!!) 대상으로 한 wRC의 원래 버전과 조정 버전 계산 파일이며, 그 위의 그래프는 2014시즌의 Correlation 그래프입니다.


실제 득점(이 경우 실점)과 계산된 원래의 wRC의 상관관계



실제 득점(이 경우 실점)과 계산된 조정 wRC의 상관관계



2010~2014 Pitchers.xlsx


위의 파일과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조정된 wRC 그래프의 상관관계가 조금 더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RMSE[각주:2]값도 작다는 것을 파일을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2010시즌부터 모든 팀들의 팀득점과 wRC, 조정된 wRC를 계산한 파일입니다.


Teams Runs.xlsx


이 경우 상관관계는 조정된 wRC에서 조금 더 낮게 나왔습니다. 그에 비해 RMSE는 정말 아주 미세하게 작음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팀득점의 경우 wOBA가 리그 평균에 수렴하는 팀들이 많을 것이기 때문에 조정된 wRC로 계산하는 것이나 원래 wRC로 계산한 것이나 큰 차이가 없어서 그런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5년간의 기록이래봤자 150팀뿐이기 때문에 조사기간을 더 전으로 확대해 보면 더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8. 결론


결과적으로, 생각보다는 괜찮은 wRC의 조정이 가능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무엇보다 극단적인 상황까지를 고정한 값으로 정의하였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wRC를 조정하여 투수들의 Opponent Batting Stat에 적용하여 계산할 수 있을 것이고, 여기에서 더 나아가 기대되는 LOB%를 계산하는 등의 활동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아직은 좀 더 해야할 일이 남아 있겠지만 말입니다. 나중에 기회와 시간이 있다면, 투수들의 BABIP과 관련해서도 조금의 조정식을 거친 후 (xBABIP이 있기는 하지만 그리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특히나 투수들에게 타자의 BABIP식을 쓸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는 않거든요.) 어느 정도 FIP를 대체하는 새로운 ERA System을 만들어 볼 생각입니다.(물론 기회와 시간이 있다면!!말입니다.) 마지막으로 끝까지 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 테일러 전개에 의해 e^x 함수는 x에 대한 다항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본문으로]
  2. Root Mean Square Error. 만약 n개의 샘플이 있고 예상된 값을 y', 실제값을 y라고 할 경우 모든 (y'-y)^2을 더하고 n으로 나눈 값을 Mean Square Error(MSE)라고 하고 RMSE는 MSE에 제곱근을 씌워서 계산한다. 첨부파일에서 계산된 RMSE는 전부 평균에 대비한 RMSE의 값이다. [본문으로]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